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왜 그렇게 납득을 하지 못했는지 실마리가 보이는가보다
결코 끝까지 가는 비밀이란 없다
잘못과 잘못을 빌지않고 가리려는 거짓말은 큰 실망감과 배신을 낳게된다
우리는 진실을 볼 수 있어야 한다
출처 http://m.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0531
[단독] 세월호에 제주해군기지 가는 철근400톤 실렸다
공사수요 맞추기 위한 무리한 출항? 복원력 저하 원인, 서류상 화물 축소도 의혹… 국정원 개입 연관 있나
2016년 06월 16일(목)
문형구 기자 mmt@mediatoday.co.kr
세월호 침몰 당일 제주해군기지로 향하는 철근 400톤이 선적된 사실이 드러났다. 미디어오늘은 세월호에 실린 막대한 양의 철근과 제주해군기지 공사의 관련성을 오랫동안 취재해왔지만, 지금껏 정부는 인천에서 제주해군기지로 운반되는 철근은 없다고 부인해왔다. 세월호가 침몰 전날 무리한 출항을 한 이유가 제주해군기지 공사 기일을 맞추기 위한 것은 아니었는지, 또한 국정원이 세월호 도입과 운항에 개입해 온 이유와 관련된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미디어오늘은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 관계자와 청해진해운 거래처인 복수의 물류업체 관계자, 제주 소재 업계 관계자를 통해 이같은 사실을 확인됐다. 이들 관계자에 따르면 세월호 침몰 당일인 4월16일 세월호엔 400톤의 철근이 실렸으며, 그 대부분은 제주해군기지 공사에 따른 수요를 충당하는 것이었다.
“침몰 당일, 철근 400톤은 전부 제주해군기지로 향했다”
청해진해운과 2008년부터 거래를 해온 물류업체 관계자 A씨는 “제주해군기지로 가는 것도 있고 일부는 개인 건축자재”라며 “삼성물산이나 대림산업에서 시공을 하는데 제주해군기지에서 매일매일 리스트를 만들었다. 그걸 보면 제일 정확하다”고 말했다.
제주 현지에서 철재소를 운영하는 관계자 B씨는 ‘철근이 제주해군기지로 가는 게 맞느냐?’는 질문에 “맞다”며 “정확한 내역은 송장에 나오는데 배에 있을 거다”라고 확인했다.
청해진해운 관계자 C씨는 “세월호에 실리는 철근은 보통 20%는 다른 곳으로 가고, 80%는 제주해군기지로 간다”며 “다만 당일(2014년4월15일 화물 적재 당시)은 100% 해군기지로 가는 것이었다”고 진술했다.
사고 당일 세월호에 실려 제주해군기지로 향하던 철근은 일반화물 총량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막대한 양이었다.
특히 이들 철근 가운데 중량톤수로 130톤(26톤 트럭으로 5대) 가량은 선박의 복원성을 약화시키는 선수갑판(C데크)에 실린 것으로 확인된다. 세월호가 좌현으로 기울었을 당시 제일 먼저 쏟아져내린 것이 철근과 H빔이었다. 최근 뉴스타파는 명성물류가 화물피해액을 감정받은 손해사정법인을 취재해 실제 세월호에 실린철근이 410톤이며, 이 가운데 3분의 2가 D갑판에, 3분의 1은 C갑판(선수)에 실린 사실을 보도했다.
정부와 검찰은 세월호 침몰의 주요 원인으로 과적을 꼽아왔다. 세월호 사고 당시 컨테이너 자체 무게와 차량 등 등을 제외한 일반화물이 1094톤이었던 만큼, 1개 업체에 의해 410톤의 화물이 한꺼번에 실리게 된 경위가 무엇인지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410톤의 철근이 서류상 286톤으로 축소돼 발표된 이유도 밝혀져야 한다. 세월호에 실린 철근은 서류상 286톤으로, 청해진해운의 오랜 거래처인 명성물류가 선적한 것으로 돼 있다. 이들 철근 가운데 40톤은 출하주가 ‘동국’이며 수하주는 제주 소재 B철재로 돼 있다. 그러나 246톤의 경우 출하주만 ‘현대’로 나와있고 선적의뢰서 상엔 수하주가 적혀 있지 않다. 명성물류가 작성한 26개의 선적의뢰서 가운데 수하주가 없는 것은 이 철근 246톤에 대한 의뢰서 뿐이었다.
무리한 출항, 국정원의 세월호 관리 이유?
청해진해운은 인천-제주항로로 연간 수만톤의 철근을 제주해군기지로 수송한 것으로 보인다.
미디어오늘이 입수한 2013년6월에 작성된 청해진해운의 ‘화물수송실적’ 문서에 따르면 청해진해운은 출하주인 동국제강으로부터만 1만5천 톤(연간)의 철근을 수송한 것으로 돼 있다. 이 화물수송실적은 침몰 당시 300여톤 철근의 출하주로 기록된 ‘현대’를 포함하지 않은 것이다.
세월호가 여객선이 아닌 화물선으로 운항돼 온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여객의 경우 오하마나호만으로 운항을 할 때도 총 정원 930명에 평균 400명 정도가 탑승하던 상황이었다. 김영붕 청해진해운 상무는 검찰 조사에서 “세월호를 이용하는 승객의 숫자가 많더라도 승객에 대한 운임은 운영수익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선박의 운항수익은 대부분 화물운송에서 발생한다고 보아야 한다”고 진술한 바 있다.
청해진해운은 2012년에 작성한 여러 문서에서 세월호 도입을 앞두고 제주 해군기지 건설에 따른 건설 자재 수송에 “능동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밝히고 있다.
침몰 당시 조타실을 지휘했던 항해사 박한결과 2항사 김영호 등이 출항을 꺼렸을만큼 2014년 4월15일 밤 인천의 기상상태는 좋지 않았다. 무리한 출항의 원인이 제주해군기지 공사의 자재 수급과 연관된 것은 아닌지도 의심되는 부분이다.
국정원이 세월호 도입 등 청해진해운 운영에 개입해온 이유에 대한 단서가 될 지도 주목된다. 이미 드러난 대로 청해진해운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정원에 해양사고를 보고하게 돼 있었고 세월호 도입 관련해서도 국정원의 간섭을 받았다. 국정원의 고유업무와는 무관한 연안여객선 업체에 대한 이같은 이해할 수 없는 개입이 제주해군기지 때문은 아닌지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국정원은 제주해군기지 문제에 깊숙이 관여해왔다. 국정원은 2012년 제주해군기지 건설 저지 운동 등과 관련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오혜란 ‘제주해군기지저지전국대책회의’ 공동집행위원장 등을 압수수색 한 바 있으며 2009년엔 국정원과 해군, 제주자치도 등이 참석한 유관기관 회의에서 국정원 관계자가 “측면 지원”을 언급한 사실이 KBS제주 보도로 드러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