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에 대제사장들이 즉시 장로들과 서기관들 곧 온 공회로 더불어 의논하고 예수를 결박하여 끌고 가서 빌라도에게 넘겨주니
빌라도가 묻되 네가 유대인의 왕이냐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네 말이 옳도다 하시매
대제사장들이 여러가지로 고소하는지라
빌라도가 또 물어 가로되 아무 대답도 없느냐 저희가 얼마나 많은 것으로 너로 고소하는가 보라 하되
예수께서 다시 아무 말씀도 대답지 아니하시니 빌라도가 기이히 여기더라
명절을 당하면 백성의 구하는대로 죄수 하나를 놓아 주는 전례가 있더니
민란을 꾸미고 이 민란에 살인하고 포박된 자 중에 바라바라 하는 자가 있는지라
무리가 나아가서 전례대로 하여주기를 구한대
빌라도가 대답하여 가로되 너희는 내가 유대인의 왕을 너희에게 놓아 주기를 원하느냐 하니
이는 저가 대제사장들이 시기로 예수를 넘겨준줄 앎이러라
그러나 대제사장들이 무리를 충동하여 도리어 바라바를 놓아 달라 하게 하니
빌라도가 또 대답하여 가로되 그러면 너희가 유대인의 왕이라 하는 이는 내가 어떻게 하랴
저희가 다시 소리지르되 저를 십자가에 못 박게 하소서
빌라도가 가로되 어찜이뇨 무슨 악한 일을 하였느냐 하니 더욱 소리지르되 십자가에 못 박게 하소서 하는지라
빌라도가 무리에게 만족을 주고자 하여 바라바는 놓아 주고 예수는 채찍질하고 십자가에 못 박히게 넘겨주니라
군병들이 예수를 끌고 브라이도리온이라는 뜰안으로 들어가서 온 군대를 모으고
예수에게 자색 옷을 입히고 가시 면류관을 엮어 씌우고
예하여 가로되 유대인의 왕이여 평안할찌어다 하고
갈대로 그의 머리를 치며 침을 뱉으며 꿇어 절하더라
희롱을 다한 후 자색 옷을 벗기고 도로 그의 옷을 입히고 십자가에 못 박으려고 끌고 나가니라
유대인들이 로마인 본디오빌라도에게 청하여 예수께 십자가 형을 내리기를 요구하다.
사랑으로 대한 유대인에게 죽음을 맞게 되는 예수의 현실이었다.
빌라도는 예수를 조롱하고, 혹은 변호를 요구하고, 혹은 전통의 예를 들어 죽음에까지는 이르지 않도록 하기를 원하였으나 군중은 살인자 바라바보다 예수의 죽음을 원하였다.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대상으로 여기지 않음에 원인이 있다.
최초에 아담의 이름을 불렀을 때, 하나님은 모든 것을 아시지만 아담의 자백과 죄를 인정하기를 원하였으나 아담은 그리하지 않고 하와에게 그 죄를 전가했다.
우리의 본성은 그렇게 죄에 대하여 인정하지 않고 전가하는 것이 이른다.
많은 이들이 하나님은 전지전능하지만 그 능력으로 내 육신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한 것으로 이해한다.
아무렴 하나님이 그러기 위해서 전지전능 하셨을까.
하나님이 이적과 힘과 권위를 보여주심은 그 분의 크심과 사랑을 이해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우리의 남용은 "왜 나에게 이럴 수 있어"로 이어지고 내가 좋아하는 말씀만 찾는 오만으로 흐른다.
나는 언제 하나님께 기도했고, 하나님을 찾았을까.
나는 과연 하나님을 하나님으로 두려워하고 인정했을까.
로마서1장25절
이는 저희가 하나님의 진리를 거짓 것으로 바꾸어 피조물을 조물주보다 더 경배하고 섬김이라 주는 곧 영원히 찬송할 이시로다 아멘
우리가 하나님의 진리를 거짓으로 바꾸고 있는 것이 아닌지 돌아 보아야 한다.
하나님을 인격적인 존재로 여기되 하나님을 대하여 방종해서는 안된다.
권리는 책임과 의무를 다 했을 때 완성된다.
우리와 하나님의 관계는 예수의 피값으로 산 것이라 그 관계에서의 인격적 책임과 의무를 다 하지 않으면 안된다.
하나님 앞에는 언제나 최선의 모습이어야하며 남과 비교된 모습이어서는 안된다.
예수님을 닮아가야하는데 옆에 서 있는 사람을 닮아 세속적이 되어서는 하나님께 나아가는 길이 될 수 없다.
하나님께서 우리가 하는 무시와 조롱을 참지 않으시면 우리의 삶이 이어질 수가 없다.
하나님께서 주시는 이 기회를 마치 영원한 것 처럼 여기지 말 일이다.
![]() |
|